영재교육
창의성을 높이는 학습전략
발달심리학자
2023. 4. 17. 16:44
창의성을 높이는 학습전략
전 략 | 설 명 | 예 시 |
창의성을 막는 표현을 사용하지 마라. |
교사가 아동의 생각이나 창조물을 즉시 평가하고 단정 짓는 것은 활동을 하고 싶지 않게 한다. 아동의 실수나 잘못된 생각을 비교하거나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창의성을 막는다. 처음부터 기발한 아이디어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사소한 생각에서 시작하여 흥미를 느끼고 계속 몰입할 때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다. | - 농담하지 말고 진지하게 해. - 그렇게 하면 안 돼! - 선생님은 그게 별론데... - 그걸 실제로 할 수 있을까 - 그건 네가 신경 쓸게 아니야. - 그건 어린애들이 하는 거잖아. - 그건 불가능해. - 어지럽히지 마라. 조용해라! |
아동이 스스로 활동을 평가 하도록 도와라. |
창의성 훈련에서는 반드시 옳고 그른 대답이 없고 아동의 창의성이나 창의적창 조물에 대해 점수를 매기거나 평가하지 않기 때문에 아동에게 자기평가기술을 기르게 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 - 네가 생각한대로 될수 있어. - 그 다음 어떻게 하고 싶니 - 그것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 어떤 것이 더 마음에 드니 - 이건 아까와 어떻게 다르니 |
유머와 다양성을 수용하라. |
활동을 위한 바람직한 소음과 다양한 행동을 수용할 때 아동은 자연스럽게 독창적이고 독특한 반응을 하려할 것이다. 창의적 활동시간은 자유롭고 재미있는 시간이 되야 한다. 아동이 즐거운 시간이라고 느낄 때, 활동을 즐기고 유머가 넘치며 자발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 - 그건 참 재미있는 생각이네! -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네. - 네가 원하면 할 수 있단다. - 옆으로 하니깐 다르게 보이네. |
배움, 즉 알아가는 과정은 불확실성에서 나온다. 낯선 것을 친근한 것으로 바꾸어 불확실성을 줄여나가는 과정이자, 아이디어가 생기고 반응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참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Guy Claxton,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