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웩슬러 지능검사(K-WISC-V)의 언어이해 지표와 높은 점수 받는 방법

웩슬러 지능검사는 흔히 아이큐라고 불리는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 도구이다. 전 세계적으로 교육 및 임상 장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교육에 한정해 보면 지능은 우수한 인재를 판별하는데 가장 유용한 지표 중에 하나입니다. 웩슬러 지능 검사로 측정된 개인의 지능 점수는 학습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매우 탁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럼 웩슬러 지능검사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고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좋을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웩슬러 지능 검사의 구조 요인은 5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요인 지표는 정확히 말해서 웩슬러 지능검사-아동용 5판, 웩슬러 지능검사-유아용 4판(가장 최신 버전)이 해당됩니다. 오래된 버전은 국내서 표준화한 기간이 20년도 넘어서 현재 동년배의 아이들과 상대적 비교를 할 수 없는 규준이기 때문에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제5판_5 요인

  1. 언어이해 지표
  2. 시공간 지표
  3. 유동추론 지표
  4. 작업기억 지표
  5. 처리속도 지표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각 지표들의 하위 구성 요인과 그 요인들이 무엇을 측정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언어이해 지표의 하위 소검사 항목과 측정 개념

언어이해  실시 분류 측정 개념 해석 기준
어휘 핵심 소검사
  • 단어 학습 능력
  • 언어적 이해력
  • 언어적 개념 형성 능력
최우수: 16점 이상

우수: 14-15점

평균 상: 12-13점

평균: 9-11점

평균 하: 7-8점

낮음: 5-6점

매우 낮음: 1-4점

공통성 핵심 소검사
  • 논리적이고 추상적인 추론 능력
  • 언어적인 개념 형성 능력 혹은 개념적 수준에서 사고하는 능력
  • 핵심적, 본질적인 속성과 부차적인 속성을 구별하는 능력
  • 인지적 융통성 및 이와 결합된 연상 능력
  • 고착, 경직된 방식으로 사고하는 경향
  • 적정 수준에서 일반화하는 능력
  • 은유나 상징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
상식 보충 소검사
  • 초기 환경과 교육적 경험으로 누적된 지식의 정도
  • 장기 기억 능력
이해 보충 소검사
  • 사회적 규범에 대한 학습 능력
  • 사회적 상황에 대한 판단 능력
  • 도덕적 개념의 발달 수준

 

언어이해 점수를 높게 받기 위한 방법

핵심 소검사는 언어이해 지능을 산출하기 위해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는 하위 검사로 어휘와 공통성 점수가 실제 언어이해 점수로 반영되기 때문에 언어적 개념 형성과 추론 능력,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속성을 구별하는 능력이 중요함. 

지적 탐색에 대한 흥미가 저하되지 않는 가정 환경, 풍부한 자극을 수용하는 분위기, 독서를 즐기는 태도, 스몰 토크를 장려하는 환경 등

풍부한 독서량은 문자에 대한 지각 능력을 높이고, 리딩 속도 증가,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 인물들 간의 관계 추론, 상상적 스토리, 긍정적 기대, 창의적 사고 등 다양한 능력을 높이는 좋은 학습이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